HMRI LOGO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연구소 소개

한림대학교 건강과뉴미디어 연구센터를 소개합니다.

연구실

MediaUX 연구실

  • 건강예방 게임과 동일시 인터페이스 연구
  • 가상현실 플랫폼과 인지신경과학적 분석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행동유도성 인터페이스 연구
  • 건강증진 체감형 게임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건강커뮤니케이션 연구실

  • 동기적 요인과 건강 맞춤형 메시지 연구
  • 인지적 요인과 건강 맞춤형 메시지 연구
  • 건강행동단계화 건강 맞춤형 메시지 연구
  • 지역공동체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모바일 헬스 연구실

  • 건강 모바일 앱 수용연구
  • 지역건강정보 확산과 소셜미디어
  • 스마트건강 정보시스템과 지역건강정보 격차연구
  • 모바일 헬스와 2차적 건강정보격차연구
  • 지역기반 원격의료 실행과 모델개발

건강콘텐츠개발센터

  • 건강관리 및 질병예방 콘텐츠 제작과 실행 연구
  • 흡연시뮬레이션 “Smoking-Sims I, II” 개발
  • 피트니스 헬스 앱 “Enjoy Your Fitness” 개발
  • 감염병예방 게임 “CLean Virus” 개발
  • MediaUX 연구실
  • 건강커뮤니케이션 연구실
  • 모바일 헬스 연구실
  • 건강콘텐츠개발센터
Media UX Lab

지역 건강증진을 위한 가상현실 플랫폼 연구

건강과뉴미디어 연구센터의 첫 번째 연구주제는 “지역 건강증진을 위한 가상현실 플랫폼 연구”입니다. 가상현실 플랫폼의 활용은 지역사회의 헬스케어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은 질환의 예측과 진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웨어러블 기술은 움직임 탐지와 운동가이드 제공 등의 응용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가상현실건강 연구실에서는 VR, AR, 웨어러블 등 다양한 ICT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의 개발 및 관련 연구를 수행합니다. 주요 연구과제로 가상현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행동유도 인터페이스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Healthcare Lab

스마트 건강정보 시스템

건강커뮤니케이션 연구실은 ‘스마트 건강정보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건강정보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평가 방법론, 기술 수용 모델 구축, 혁신 저항 이론 등 다양한 관련 이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를 기초로 플랫폼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설계도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건강커뮤니케이션 연구실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기술과 가상환경 플랫폼에 대한 인지신경과학적 분석,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의료 취약계층의 의료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M-Health Lab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모바일 헬스 연구

모바일 헬스 연구실은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모바일 헬스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모바일을 이용한 건강관리는 지역사회에 건강정보를 SMS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건강정보를 전달·활용하는 교육 및 인식개선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고, 의료진 및 환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건강 정보를 입력하거나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의 몸에 모바일 센서를 부착한다면 원거리에서 건강을 모니터링하거나 투약 지도를 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있는 GPS 기능은 응급상황에서 신속히 대응하도록 활용할 수 있고, 원격의료를 지원하기 위해 진단 및 관리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모바일 헬스 연구실은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모바일 기술 활용가능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Health Contents Dev. Center

지역 건강증진 프로모션 콘텐츠 전략

건강콘텐츠개발센터는 “지역 건강증진 프로모션 콘텐츠 전략”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미디어가 원격건강관리시스템에 적극 활용되면서 건강행동 촉진 및 관리르 위한 예방적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진화된 원격건가오간리 시스템의 경우 이에 부합하는 메시지를 개발하고 전달하는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게 부각될 것입니다. 본 HCT를 활용한 맞춤형 건강메시지 설계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맞춤형 메시지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